박형진(1958-, 전북 부안) 박형진(1958-, 전북 부안) 격포항에서 곰소항으로 가는 길에 자리잡은 한적한 어촌 마을이다. 차 한대 빠져나가기 힘든 좁고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 낮은 집들이 서로 몸을 비껴 앉아 있다. 한밤중 밀물 때면 바닷물이 마을 앞까지 들어온다. 바다로 트인 마루에 앉으면 바다가 무릎 높이에서 일렁거린다...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제가(1750-1805, 서울 출생) 박제가(1750-1805, 서울 출생) 박제가는 학자적 소양이 풍부했으나 어린 시절은 불행했다. 서얼 출신의 수줍고 내성적인 성격의 소년. 그래서 그는 사회적 소외감 속에서 내적 갈등과 싸우며 살아야 했다고 한다. 박제가(朴齊家)는 역사적 전환기에 치열하게 살다간 문인이자 경제학자였으며 화가였다. ..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봉우(1934-1990, 전남 광주) 박봉우(1934-1990, 전남 광주) 내(신경림) 머릿속에는 박봉우 시인이 몇 개의 이미지로 남아있다. 첫째는 파고다공원이다. 그는 1965년 가을 파고다 공원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스승인 김현승 시인이 주례를 섰다. 70년대 말 박봉우 시인에게 들렀을 때, 술 두어 잔에 금방 취해 "나라의 온갖 것들을 쓸어내..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용래(1925-1980, 충남 논산) 박용래(1925-1980, 충남 논산)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되자 그의 사고은 일변했다. 그는 여기저기 부탁한 끝에 한밭중학교 국어교사로 취임했으며 다음 해에는 대우가 좋은 당진군 송악중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광덕산이 높이 솟은 가학마을에서 그는 홀로 자취를 하며 학교를 오갔다. 아내와 아이들이 보고..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완서(1931-2011 , 경기도 개성) 박완서(1931-2011 , 경기도 개성) 박완서를 소개한 서병욱 작가의 글을 줄인 것입니다. [박완서. 1931년 경기도 개풍군 묵송리 박적골에서 출생. 박적골은 개성에서 이십여 리 떨어진 벽촌. 세 살 때 아버지는 病死(병사)했다. 할아버지가 아버지였다. 어머니, 열 살 위인 오빠와 함께 유년기는 흘렀다. 할아..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종화(1901-1981, 서울) 박종화(1901-1981, 서울) 월탄의 술친구 중 가장 가까웠던 사람은 변영로, 염상섭, 이하윤, 현진건 등이었다. 이들은 충신동 월탄의 집에서 아주 살 정도였다. 박종화의 부인이 담근 동동주가 가장 인기 좋은 술이었다. 이들은 모두 술을 너무나 좋아해서, 아예 집에서 술을 먹는 편이 훨씬 낫다는 생각에 ..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목월(1916-1978, 경주) 박목월(1916-1978, 경주) 한낱 시골 청년이던 木月을 발견하여 문단 에 뽑아 올린 「文章」지의 추천시인 鄭芝鎔(정지용)이 그를 추천하면서 했던 말은 이제 영원히 변치 않을 금강석이 되었다. 「한국에는 두 개의 달이 있으니 북에는 소월이요, 남에는 목월이라…」라고. 박목월은 대구의 계성중학교 .. 문인 일화(ㅂ-ㅇ) 2010.08.30
박인환(1926-1956,강원도 인제) 박인환(1926-1956,강원도 인제) 박인환은 해방 후 서울로 돌아와 아버지의 돈 3만원과 이모의 돈 2만원을 얻어 서점을 차리고 거기에 '마리서사'란 이름을 붙였다. 그 이름은 시집 <군함말리>에서 따 왔다고도 하고, 프랑스의 여류 시인이자 화가였던 마리 로랑생에게서 연유했다고도 한.. 문인 일화(ㅂ-ㅇ) 2010.08.28